본문 바로가기
생활팁/비료

비료 - 비료, 거름은 무엇일까?

by skanze 2025. 2. 22.
728x90

작물을 건강하게 키우기 위해 다양한 비료와 토양 개량제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.

비료, 거름 예시이미지


 

1. 천연 비료 (유기질 비료)

천연 비료는 자연에서 얻은 재료를 사용하여 만든 비료로, 토양의 미생물 활동을 촉진하고 지속적으로 영양분을 공급하는 특징이 있습니다.

① 퇴비 (Compost)

  • 재료: 식물성 폐기물, 가축 분뇨, 낙엽, 음식물 쓰레기 등
  • 특징: 유기물 함량이 높아 토양 구조 개선에 도움을 줌. 서서히 영양분을 공급.
  • 사용법: 토양에 골고루 섞어주거나 작물 심기 전에 미리 뿌림.

② 녹비 (Green Manure)

  • 재료: 클로버, 헤어리베치, 자운영 같은 식물을 재배한 후 갈아엎어 거름으로 사용
  • 특징: 질소를 공급하여 토양 비옥도를 높임. 유기물 증가 효과가 있음.
  • 사용법: 녹비 작물을 일정 기간 기른 후 토양에 갈아엎음.

③ 가축 분뇨 비료

  • 종류: 소, 돼지, 닭 등의 분뇨를 발효시킨 것
  • 특징: 질소, 인, 칼륨 등의 영양소가 풍부함. 완전 발효가 필요함.
  • 사용법: 미리 퇴비화하여 사용, 충분히 발효되지 않으면 작물 뿌리를 손상시킬 수 있음.

 


2. 화학 비료 (무기질 비료)

화학적으로 합성하여 만든 비료로, 빠르게 영양소를 공급할 수 있습니다.

① 질소 비료 (N)

  • 종류: 요소비료(UREA), 질산암모늄, 황산암모늄
  • 특징: 잎과 줄기 성장을 촉진함. 질소 과다 사용 시 도장(줄기만 길어짐) 현상이 발생할 수 있음.
  • 사용법: 생육 초기 또는 생장이 빠른 시기에 사용.

② 인산 비료 (P)

  • 종류: 용성인비, 과인산석회
  • 특징: 뿌리 발달을 돕고 꽃과 열매 형성에 필수적. 토양에서 잘 이동하지 않음.
  • 사용법: 미리 밑거름으로 사용하면 효과적.

③ 칼륨 비료 (K)

  • 종류: 염화칼륨, 황산칼륨
  • 특징: 병해충 저항력 강화, 과일의 당도를 높이고 품질 향상.
  • 사용법: 작물 성장 중기 이후에 뿌려주는 것이 효과적.

④ 복합 비료 (NPK)

  • 종류: 질소(N), 인산(P), 칼륨(K)을 조합한 비료
  • 특징: 작물의 균형 잡힌 성장을 위해 사용. 성분 비율에 따라 다양한 종류가 있음.
  • 사용법: 작물의 필요에 따라 비율을 선택하여 사용.

3. 거름 (퇴비와 비슷하지만 유기물 성분이 다양함)

거름은 퇴비와 유사하지만, 다양한 유기물과 미생물이 포함되어 있어 토양 개선 효과가 큽니다.

① 왕겨 거름

  • 특징: 배수성과 보수성 향상. 유기물 증가.
  • 사용법: 퇴비로 활용하거나 섞어 사용.

② 볏짚 거름

  • 특징: 서서히 분해되면서 영양소 공급. 토양에 공기 공급 역할.
  • 사용법: 논이나 밭에 갈아엎어 사용.

③ 깻묵 거름

  • 특징: 질소와 유기물이 풍부해 작물 생장 촉진.
  • 사용법: 밑거름으로 사용.

4. 생석회 (CaO)

생석회는 토양의 산도를 조절하는 데 사용됩니다.

  • 특징: 강한 알칼리성으로 토양을 중화하고 병원균을 제거하는 효과가 있음.
  • 주의점: 직접 작물과 닿으면 뿌리가 손상될 수 있음. 사용 후 일정 기간 지나야 작물을 심을 수 있음.
  • 사용법: 토양에 뿌리고 최소 2주 후 경운한 뒤 작물을 심는 것이 좋음.

⚠️ 비료 사용 시 주의할 점

  1. 균형 잡힌 비료 사용: 특정 성분만 과다 사용하면 작물 생육 불균형이 생길 수 있음.
  2. 화학 비료의 과다 사용 주의: 빠른 효과가 있지만 토양을 산성화할 수 있음.
  3. 퇴비와 거름은 충분히 발효 후 사용: 미발효 유기물은 가스 발생으로 뿌리에 해로울 수 있음.
  4. 토양 검사 후 적절한 비료 선택: pH와 영양 상태를 확인하고 적절한 비료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함.
728x90