728x90
교목을 심은 후 물집을 만드는 방법과 관수하는 방법을 알아보자.
★교목 식재 후 '물집 만들기' 방법
물집(관수턱, Water Basin)이란 나무 주변의 물이 밖으로 흘러가지 않고 뿌리에 잘 스며들도록 만드는 흙턱입니다.
① 교목 주변 정리하기
- 나무 심기 후 주변 흙을 정리하고, 나무 주변을 평평하게 다져줍니다.
② 물집 크기 정하기
- 교목 줄기를 중심으로 지름 약 1m 내외의 원을 설정합니다.
- 나무의 크기가 크면(흉고직경 5cm 이상) 원을 더 넓게 잡습니다.
③ 흙 턱(물집) 만들기
- 설정한 원 둘레를 따라 주변 흙을 긁어모아 높이 약 10~15cm 정도의 둥근 흙 턱을 만듭니다.
- 흙 턱이 완성되면 안쪽이 움푹 들어간 형태가 되어 물이 고일 수 있도록 합니다.
④ 흙턱 다지기
- 만들어진 흙 턱을 삽 또는 손으로 단단히 다져 물이 새지 않도록 합니다.
⑤ 물집 상태 점검하기
- 물을 약간 넣어서 물이 새거나 무너지지 않는지 확인합니다.
- 만약 무너지면 다시 다져 견고하게 만들어줍니다.
★교목 식재 후 올바른 관수(물 주기) 방법
교목의 뿌리가 깊숙이 자리 잡기 위해서는 올바른 관수 방법이 매우 중요합니다.
① 첫 관수(초기관수)
- 식재 직후, 즉시 물을 충분히 공급합니다.
- 물집(관수턱)에 물이 가득 찰 정도로 충분히 줍니다.
② 천천히, 깊게 물 주기
- 호스나 물뿌리개를 이용해 천천히 물을 줍니다.
- 빠르게 주면 흙 표면만 젖고 깊은 뿌리까지 물이 잘 스며들지 못하므로 천천히 주는 것이 핵심입니다.
③ 관수량 조절하기
- 물은 최소 10분 이상 천천히 주어 뿌리 깊이(최소 40~50cm 깊이) 까지 충분히 흡수되도록 합니다.
- 교목 한 그루당 약 50~100리터의 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(나무 크기에 따라 다름).
④ 물집 내 물 상태 확인하기
- 물이 흙에 천천히 스며드는지 확인하고, 물이 옆으로 넘치거나 밖으로 빠져나가지 않도록 관찰합니다.
⑤ 멀칭(Mulching) 작업
- 관수가 끝난 후, 바크, 나뭇잎, 우드칩 등을 5~10cm 두께로 나무 주변에 깔아 수분 증발을 막아줍니다.
⑥ 관수 주기 설정
- 식재 후 첫 1개월간은 일주일에 2~3회 꾸준히 관수합니다.
- 1개월 이후에는 1~2주에 한 번씩 깊게 관수합니다.
⑦ 적절한 관수 시간
- 아침 이른 시간(오전 6~9시) 또는 오후 늦은 시간(오후 4~7시)에 주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.
- 한낮에는 증발이 심하고, 밤늦게 주면 곰팡이 등의 질병 발생 위험이 있습니다.
★ 주의사항 및 추가 팁
- 물집은 관수 후 흙이 점점 쓸려 내려갈 수 있으니, 주기적으로 보수하고 관리합니다.
- 관수 시 항상 물이 뿌리에 닿을 정도로 충분히 줘야 합니다.
- 흙이 항상 축축하게 유지되면 뿌리가 썩을 위험이 있으므로, 물이 빠진 후 흙 표면이 약간 마를 때 다시 관수하는 것이 좋습니다.
- 계절별로 관수량을 조절합니다. 특히 여름철(가뭄 시기)은 관수를 더 자주 실시하며, 겨울철은 횟수를 줄입니다.
728x90
'생활팁 > 식물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땅콩 밑거름과 병해충 관리에 대해 (0) | 2025.03.12 |
---|---|
체리나무(러시아8호, 라핀)에 대해 (0) | 2025.03.11 |
관목 식재후 물주는 방법 (0) | 2025.03.10 |
잔디긁기(대취) 방법 및 미시행시 병해에 대해 (0) | 2025.03.10 |
한지형잔디, 난지형잔디의 비료비율 추천, 비료 시비시기 (0) | 2025.03.09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