728x90
봄철 작물에서 흔히 발생하는 병충해와 그 해결 방법을 작물 종류별로 정리하여 소개하겠습니다.
★ 봄철 주요 병충해와 예방 및 해결 방법
1. 잎채소류 (상추, 쌈채소, 시금치, 봄동 등)
- 발생 병충해:
- 노균병: 잎 뒷면에 흰색 포자가 생기고, 황색 반점 발생.
- 진딧물: 잎과 새순에 달라붙어 생장 억제.
- 해결방법:
- 노균병 예방을 위해 주기적으로 환기하고, 병든 잎은 조기 제거.
- 진딧물은 친환경 방제법으로 천연 살충제(난황유, 제충국 추출물 등)를 뿌려 방제 가능.
- 예방을 위해 마늘·고추·계피 추출액을 주기적으로 살포하면 좋음.
2. 근채류 (무, 당근, 순무 등)
- 발생 병충해:
- 무름병: 뿌리가 썩고, 악취가 남.
- 벼룩잎벌레: 잎에 작고 동그란 구멍을 만듦.
- 해결방법:
- 물 빠짐이 좋은 토양 관리로 무름병 예방.
- 벼룩잎벌레 피해 시 목초액 희석액 또는 마늘추출물 등 천연살충제 사용.
- 작물 주변 잡초 제거 및 망사 설치로 해충 접근 차단.
3. 가지과 작물 (고추, 토마토 등)
- 발생 병충해:
- 역병(잘록병): 줄기 아랫부분이 잘록해지고 썩음.
- 총채벌레·진딧물: 새순에 모여 흡즙하여 식물 성장 억제.
- 해결방법:
- 역병 예방을 위해 배수 관리를 철저히 하고, 정식 전 토양 소독 필요(석회 살포).
- 총채벌레나 진딧물 발생 시 노란 끈끈이트랩 설치 및 천연 약제(식물추출액)를 이용해 방제.
- 초기에 감염된 부분은 즉시 제거하고 격리 조치.
4. 호박·오이류 작물
- 발생 병충해:
- 흰가루병: 잎에 하얀 가루 형태의 곰팡이가 생김.
- 응애류: 잎 뒷면에서 흡즙해 잎이 누렇게 변색.
- 해결방법:
- 흰가루병은 통풍과 햇빛을 잘 받도록 관리하고, 우유 희석액(우유:물 = 1:10)을 잎에 분무하면 예방 효과.
- 응애류 방제는 천연오일(난황유, 님오일) 분무가 효과적이며, 발생 초기에 잎 뒷면까지 철저히 살포.
- 심할 경우 식용 가능한 친환경 농약(제충국 추출물) 사용 권장.
5. 허브류 (라벤더, 로즈마리, 카모마일 등)
- 발생 병충해:
- 뿌리썩음병: 과습으로 인해 뿌리 부패.
- 진딧물, 깍지벌레: 줄기와 잎에 발생.
- 해결방법:
- 허브는 물 빠짐 좋은 흙을 사용해 과습 방지.
- 진딧물과 깍지벌레는 면봉에 알코올을 묻혀 직접 닦아내거나 천연 살충제(마늘액·계피액 등)를 살포하여 관리.
6. 꽃류 (백일홍, 금잔화, 코스모스 등)
- 발생 병충해:
- 잿빛곰팡이병: 습한 환경에서 꽃과 잎에 회색 곰팡이.
- 진딧물, 총채벌레: 꽃봉오리와 잎을 흡즙하여 개화를 방해.
- 해결방법:
- 잿빛곰팡이 예방을 위해 물 주기는 오전에 하고, 과습한 환경을 피함.
- 총채벌레와 진딧물은 초기에 난황유 등 천연 약제를 살포해 방제하고, 주변의 잡초 제거가 중요.
★ 친환경 예방·관리 요령 요약
- 주기적으로 식물을 관찰하여 병충해 초기에 대응.
- 작물 간 간격 유지 및 통풍 확보.
- 배수 관리 철저히 하고, 유기질 비료 사용으로 작물 면역력 증진.
- 천연추출물(마늘액, 목초액, 난황유, 님오일 등)을 이용한 친환경 방제 적극 활용.
728x90
'생활팁 > 식물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잔디긁기(대취) 방법 및 미시행시 병해에 대해 (0) | 2025.03.10 |
---|---|
한지형잔디, 난지형잔디의 비료비율 추천, 비료 시비시기 (0) | 2025.03.09 |
분갈이시 흙의 종류(상토, 배양토, 마사토), 작물별 분갈이 방법 (1) | 2025.03.08 |
영산홍 비료종류 시비시기, 전정방법, 병충해 관련하여 (1) | 2025.03.08 |
포도나무 전정 비료시비, 주기 병해충에 대하여 (0) | 2025.03.07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