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생활팁/식물

봄철 작물별 주요 병충해와 해결방법(친환경법포함)

by skanze 2025. 3. 9.
728x90

봄철 작물에서 흔히 발생하는 병충해와 그 해결 방법을 작물 종류별로 정리하여 소개하겠습니다.


병충해 발생 나무

★ 봄철 주요 병충해와 예방 및 해결 방법

1. 잎채소류 (상추, 쌈채소, 시금치, 봄동 등)

  • 발생 병충해:
    • 노균병: 잎 뒷면에 흰색 포자가 생기고, 황색 반점 발생.
    • 진딧물: 잎과 새순에 달라붙어 생장 억제.
  • 해결방법:
    • 노균병 예방을 위해 주기적으로 환기하고, 병든 잎은 조기 제거.
    • 진딧물은 친환경 방제법으로 천연 살충제(난황유, 제충국 추출물 등)를 뿌려 방제 가능.
    • 예방을 위해 마늘·고추·계피 추출액을 주기적으로 살포하면 좋음.

2. 근채류 (무, 당근, 순무 등)

  • 발생 병충해:
    • 무름병: 뿌리가 썩고, 악취가 남.
    • 벼룩잎벌레: 잎에 작고 동그란 구멍을 만듦.
  • 해결방법:
    • 물 빠짐이 좋은 토양 관리로 무름병 예방.
    • 벼룩잎벌레 피해 시 목초액 희석액 또는 마늘추출물 등 천연살충제 사용.
    • 작물 주변 잡초 제거 및 망사 설치로 해충 접근 차단.

3. 가지과 작물 (고추, 토마토 등)

  • 발생 병충해:
    • 역병(잘록병): 줄기 아랫부분이 잘록해지고 썩음.
    • 총채벌레·진딧물: 새순에 모여 흡즙하여 식물 성장 억제.
  • 해결방법:
    • 역병 예방을 위해 배수 관리를 철저히 하고, 정식 전 토양 소독 필요(석회 살포).
    • 총채벌레나 진딧물 발생 시 노란 끈끈이트랩 설치 및 천연 약제(식물추출액)를 이용해 방제.
    • 초기에 감염된 부분은 즉시 제거하고 격리 조치.

 

4. 호박·오이류 작물

  • 발생 병충해:
    • 흰가루병: 잎에 하얀 가루 형태의 곰팡이가 생김.
    • 응애류: 잎 뒷면에서 흡즙해 잎이 누렇게 변색.
  • 해결방법:
    • 흰가루병은 통풍과 햇빛을 잘 받도록 관리하고, 우유 희석액(우유:물 = 1:10)을 잎에 분무하면 예방 효과.
    • 응애류 방제는 천연오일(난황유, 님오일) 분무가 효과적이며, 발생 초기에 잎 뒷면까지 철저히 살포.
    • 심할 경우 식용 가능한 친환경 농약(제충국 추출물) 사용 권장.

 

5. 허브류 (라벤더, 로즈마리, 카모마일 등)

  • 발생 병충해:
    • 뿌리썩음병: 과습으로 인해 뿌리 부패.
    • 진딧물, 깍지벌레: 줄기와 잎에 발생.
  • 해결방법:
    • 허브는 물 빠짐 좋은 흙을 사용해 과습 방지.
    • 진딧물과 깍지벌레는 면봉에 알코올을 묻혀 직접 닦아내거나 천연 살충제(마늘액·계피액 등)를 살포하여 관리.

 

6. 꽃류 (백일홍, 금잔화, 코스모스 등)

  • 발생 병충해:
    • 잿빛곰팡이병: 습한 환경에서 꽃과 잎에 회색 곰팡이.
    • 진딧물, 총채벌레: 꽃봉오리와 잎을 흡즙하여 개화를 방해.
  • 해결방법:
    • 잿빛곰팡이 예방을 위해 물 주기는 오전에 하고, 과습한 환경을 피함.
    • 총채벌레와 진딧물은 초기에 난황유 등 천연 약제를 살포해 방제하고, 주변의 잡초 제거가 중요.

 

★ 친환경 예방·관리 요령 요약

  • 주기적으로 식물을 관찰하여 병충해 초기에 대응.
  • 작물 간 간격 유지 및 통풍 확보.
  • 배수 관리 철저히 하고, 유기질 비료 사용으로 작물 면역력 증진.
  • 천연추출물(마늘액, 목초액, 난황유, 님오일 등)을 이용한 친환경 방제 적극 활용.

 

728x90