728x90
밭에서 사용하는 다양한 농기구와 농기계를 용도와 함께 알아보자.
★ 농기구 (손으로 사용하는 도구)
- 호미
- 용도: 김매기, 잡초 제거, 씨앗 심기, 흙 고르기 등 밭 작업 전반에 유용한 필수 도구입니다.
- 사용법: 한 손으로 손잡이를 잡고, 날 부분으로 흙을 긁어내거나 풀을 제거합니다.
- 괭이
- 용도: 밭을 깊이 파고 흙을 부드럽게 만들거나 두둑을 세우는 데 쓰입니다.
- 사용법: 양손으로 잡고 힘을 실어 땅을 찍어 내려 땅을 뒤집거나 고릅니다.
- 삽(스페이드)
- 용도: 흙을 파거나 옮기고, 큰 구멍을 파는 데 사용합니다.
- 사용법: 발로 힘을 주어 날을 땅속에 넣고 흙을 떠서 옮깁니다.
- 갈퀴
- 용도: 흙을 고르게 펴고, 잡초와 자갈, 나뭇잎 등을 모으는 데 좋습니다.
- 사용법: 양손으로 잡고 가볍게 당기면서 사용합니다.
- 쇠스랑(포크)
- 용도: 흙 속의 돌을 걸러내고, 뿌리채소를 수확하거나 퇴비를 뒤섞는 데 유용합니다.
- 사용법: 땅에 깊숙이 꽂아 흔들어 흙을 부드럽게 풀어줍니다.
- 낫
- 용도: 풀이나 작물 줄기 등을 베는 데 사용합니다.
- 사용법: 한 손으로 작물을 잡고 다른 손으로 낫을 움직여 베어냅니다.
- 모종삽
- 용도: 모종 심기, 작은 구멍 파기, 화분 관리 등 정밀한 작업에 사용합니다.
- 사용법: 한 손으로 잡고 원하는 위치에 흙을 파거나 모종을 심습니다.
- 제초기(손제초기)
- 용도: 잡초를 뿌리째 뽑아내는데 사용합니다.
- 사용법: 제초기를 잡초 뿌리 밑으로 밀어 넣고 뽑아냅니다.
- 전지가위
- 용도: 가지나 줄기를 자를 때 사용하는 도구입니다.
- 사용법: 가지를 손으로 잡고 가위를 눌러 잘라냅니다.
- 낫갈이(숫돌)
- 용도: 낫이나 호미 등 날을 가는 데 사용합니다.
- 사용법: 날을 숫돌 위에 올리고 일정 방향으로 밀어 날을 날카롭게 유지합니다.
★ 농기계 (기계로 작동하는 농기구)
- 관리기(경운기)
- 용도: 밭갈이, 흙 고르기, 이랑 만들기 등에 쓰이는 소형 농기계입니다.
- 사용법: 엔진을 작동시키고 핸들을 잡아 천천히 이동하며 흙을 갈아줍니다.
- 트랙터
- 용도: 다양한 작업기(쟁기, 로터리, 써레 등)를 부착해 밭갈이, 파종, 비료살포 등을 수행합니다.
- 사용법: 운전석에서 기계를 조종하며 작업기를 이용해 땅을 작업합니다.
- 이앙기
- 용도: 벼나 모종을 대규모로 빠르고 일정한 간격으로 심는 기계입니다.
- 사용법: 모판을 장착하고 이앙기를 운전해 모종을 자동으로 심습니다.
- 파종기
- 용도: 씨앗을 일정 간격과 깊이에 정확하게 심어주는 농기계입니다.
- 사용법: 씨앗을 넣고 밀거나 엔진을 이용해 운전하며 자동으로 씨앗을 심습니다.
- 예초기
- 용도: 풀, 잡초 등을 빠르고 효율적으로 제거합니다.
- 사용법: 어깨에 매고 시동을 걸어 풀이나 잡초를 베어줍니다.
- 제초기(동력제초기)
- 용도: 대규모 밭에서 제초작업 시 효율적으로 사용됩니다.
- 사용법: 엔진을 가동해 회전 날을 이용해 잡초를 빠르게 제거합니다.
- 방제기
- 용도: 농약이나 비료 등을 분무하여 병충해 방제와 영양 공급에 사용합니다.
- 사용법: 농약 또는 비료를 넣고 기계를 작동해 작물 위에 고르게 뿌립니다.
- 수확기(예: 감자수확기, 콩탈곡기 등)
- 용도: 작물 수확과 탈곡작업을 빠르게 처리합니다.
- 사용법: 밭 위를 이동하며 작물을 캐거나 수확물을 자동으로 탈곡합니다.
- 퇴비살포기
- 용도: 퇴비를 골고루 넓은 면적에 살포하는 농기계입니다.
- 사용법: 퇴비를 적재 후 작동시켜 퇴비를 일정하게 뿌립니다.
- 건조기
- 용도: 곡물, 고추 등 수확물을 빠르게 건조하여 보관성을 높입니다.
- 사용법: 수확물을 내부에 넣고 기계를 작동하여 건조합니다.
- 분무기(전동식 또는 엔진식)
- 용도: 넓은 면적의 농약이나 액상 비료 살포에 적합합니다.
- 사용법: 기계를 메거나 밀며 분무액을 작물에 골고루 뿌립니다.
- 로터리(회전 경운기)
- 용도: 트랙터에 부착하여 땅을 미세하게 부수어 밭을 고르는 작업에 사용합니다.
- 사용법: 트랙터 뒤에 부착하여 운전하며 흙을 곱게 갈아줍니다.
728x90
'생활팁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우리가 사용하는 농기구에 대해알아보자 (0) | 2025.03.07 |
---|